방송언론정보
언론정보자료
심각한 군내 성희롱
페이지 정보
본문
▲ "이등병, 너 예쁘장하네" 심각한 군내 성희롱
제대후에도 정신적 고통...추억대신 악몽뿐"
군대 이등병 시절 내무반 선임병장에게 성폭행당했던 대학원생 L(28)씨는 8년째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96년 경기도의 육군 모 부대로 배치를 받은 첫날밤, L씨에게 떨어진 첫 명령은 선임 김 병장과의 ‘동침’이었다. 잠이 잠깐 들었을 때 ‘예쁘장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그의 바지 속으로 김 병장의 손이 들어왔다.
다음날 김 병장은 L씨를 찾아와 “나한테 잘 보이지 않으면 너는 끝”이라며, 자신의 성기에 입을 갖다 댈 것을 강요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니까 봐달라고 애원해도 소용없었다. 갓 입대한 신병에게 선임병장은 하늘 같은 존재였다.
김 병장이 제대할 때까지 L씨는 목욕탕으로, 화장실로, 연병장 뒤로 불려가 갖은 성폭행과 성희롱을 당했다.
이씨는 “남들은 추억처럼 군 생활을 얘기하곤 하지만 나에게 남은 건 악몽뿐”이라며 “여자친구와 팔짱을 낄 때마다 섬뜩한 기분이 들어 손도 못 잡는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1000자 토론 바로가기
'병영내 동성애문제' 이렇게 생각한다
최근 부하 사병을 상습 성추행한 혐의로 대대장이 구속되고, 선임병에게 성추행을 당한 충격으로 경기도 의정부에서 육군 병사가 자살하는 등 병영 내 숨겨져 있던 성폭력 피해 사례들이 드러나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 현역 사병 및 전역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군인 10명 중 1명이 성적 접촉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대상 372명 중 34명(9.12%)이 성적 접촉행위를 당했다고 답변했다.
그럼에도 군대 성폭력의 전체적인 양상은 여전히 감춰져 있다. 계급사회의 수직적 상하관계 때문에 피해자가 불리할 수밖에 없고, 보안을 중시하는 군의 특성상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취재진과 접촉한 피해자들 중에는 현재 군(軍)을 제대한 민간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수치심과 함께 불이익이 돌아오지 않을까 자세한 피해내용을 밝히길 꺼려했다.
충남 육군 모 훈련소에 입소한 지 1주일 만에 훈련 조교에게 성폭행을 당한 K(27)씨는 취재진 앞에서 울음까지 터뜨렸다.
오전 2시쯤 함께 초소 근무를 나간 조교가 “너 여자랑 그거 해봤냐”고 물은 뒤 조교는 바로 K씨의 입에 ‘강제 키스’를 했다.
이에 K씨가 소리를 지르자 조교는 “가만 안 있으면 죽여버린다”며 K씨의 성기를 주물렀고, 나중에는 자신의 성기를 만지게 했다. 조교는 더 나아가 “(헌병대 등에) 신고하면 제대 끝까지 불이익이 올 것”이라며 K씨를 협박하기도 했다.
2000년 겨울 경기도 오산의 공군 모 부대 안에서는 최고참 선임병 2명이 막 전입 온 신병 두 명에게 ‘자대 배치 신고식’ 명목으로 성행위를 묘사하도록 강요했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김모(24)씨는 “정말 짐승 같은 짓이었지만 군기 잡는다는 명분으로 악습은 몇 년간 계속 진행됐다”며 “불이익을 겁내서 누구도 감히 반항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남성의 전화’ 이옥 소장은 “군 성폭력의 배후에는 일종의 스트레스 해소 차원에서 하급자를 성적으로 괴롭혀서 재미와 즐거움을 얻으려는 심리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1999년 경기도 포천 모 부대 취사병 내무반에서는 선임병의 구강성교 강요를 거부한 병사가 하수도 구멍에 성기를 넣었다 빼게 하는 ‘기압’을 받은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소문을 타고 상관들의 귀에까지 들어가 해당 선임병은 결국 군법회의에 회부됐다.
전문가들은 군 성폭행 문제를 이제는 밀폐된 병영으로부터 밖으로 끌어내 사회적 공론화 함으로써 정확한 실태파악과 그에 따른 실효성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때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성폭력상담소 권주희 간사는 “군 성폭행 문제는 최근 병사의 자살 등 극단적인 사건으로 잠시 언론에 이슈화됐을 뿐이지 이전부터 빈번히 벌어졌다”며 “군 성폭력 문제는 물리적 피해보다 정신적 피해에 초점을 둬야 하며 일종의 인격적 살인행위”라고 말했다.
서울대 김혜란(金惠蘭·사회복지학) 교수는 “군 성폭행 문제의 가장 큰 이유는 가부장적인 요인과 폐쇄적이고 상명하복식의 군대문화의 특수성 때문”이라면서 “병영 안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군인들이나 민간인들을 고용하는 전문상담제도 등을 채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기사 2003.07. 14 홍원상기자)
▲ < 남성의전화. com / 남성의전화 >
제대후에도 정신적 고통...추억대신 악몽뿐"
군대 이등병 시절 내무반 선임병장에게 성폭행당했던 대학원생 L(28)씨는 8년째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96년 경기도의 육군 모 부대로 배치를 받은 첫날밤, L씨에게 떨어진 첫 명령은 선임 김 병장과의 ‘동침’이었다. 잠이 잠깐 들었을 때 ‘예쁘장하게 생겼다’는 이유로 그의 바지 속으로 김 병장의 손이 들어왔다.
다음날 김 병장은 L씨를 찾아와 “나한테 잘 보이지 않으면 너는 끝”이라며, 자신의 성기에 입을 갖다 댈 것을 강요했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니까 봐달라고 애원해도 소용없었다. 갓 입대한 신병에게 선임병장은 하늘 같은 존재였다.
김 병장이 제대할 때까지 L씨는 목욕탕으로, 화장실로, 연병장 뒤로 불려가 갖은 성폭행과 성희롱을 당했다.
이씨는 “남들은 추억처럼 군 생활을 얘기하곤 하지만 나에게 남은 건 악몽뿐”이라며 “여자친구와 팔짱을 낄 때마다 섬뜩한 기분이 들어 손도 못 잡는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1000자 토론 바로가기
'병영내 동성애문제' 이렇게 생각한다
최근 부하 사병을 상습 성추행한 혐의로 대대장이 구속되고, 선임병에게 성추행을 당한 충격으로 경기도 의정부에서 육군 병사가 자살하는 등 병영 내 숨겨져 있던 성폭력 피해 사례들이 드러나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 현역 사병 및 전역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군인 10명 중 1명이 성적 접촉을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대상 372명 중 34명(9.12%)이 성적 접촉행위를 당했다고 답변했다.
그럼에도 군대 성폭력의 전체적인 양상은 여전히 감춰져 있다. 계급사회의 수직적 상하관계 때문에 피해자가 불리할 수밖에 없고, 보안을 중시하는 군의 특성상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취재진과 접촉한 피해자들 중에는 현재 군(軍)을 제대한 민간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수치심과 함께 불이익이 돌아오지 않을까 자세한 피해내용을 밝히길 꺼려했다.
충남 육군 모 훈련소에 입소한 지 1주일 만에 훈련 조교에게 성폭행을 당한 K(27)씨는 취재진 앞에서 울음까지 터뜨렸다.
오전 2시쯤 함께 초소 근무를 나간 조교가 “너 여자랑 그거 해봤냐”고 물은 뒤 조교는 바로 K씨의 입에 ‘강제 키스’를 했다.
이에 K씨가 소리를 지르자 조교는 “가만 안 있으면 죽여버린다”며 K씨의 성기를 주물렀고, 나중에는 자신의 성기를 만지게 했다. 조교는 더 나아가 “(헌병대 등에) 신고하면 제대 끝까지 불이익이 올 것”이라며 K씨를 협박하기도 했다.
2000년 겨울 경기도 오산의 공군 모 부대 안에서는 최고참 선임병 2명이 막 전입 온 신병 두 명에게 ‘자대 배치 신고식’ 명목으로 성행위를 묘사하도록 강요했다.
당시 현장에 있었던 김모(24)씨는 “정말 짐승 같은 짓이었지만 군기 잡는다는 명분으로 악습은 몇 년간 계속 진행됐다”며 “불이익을 겁내서 누구도 감히 반항할 생각을 하지 못했다”고 털어놓았다.
‘남성의 전화’ 이옥 소장은 “군 성폭력의 배후에는 일종의 스트레스 해소 차원에서 하급자를 성적으로 괴롭혀서 재미와 즐거움을 얻으려는 심리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1999년 경기도 포천 모 부대 취사병 내무반에서는 선임병의 구강성교 강요를 거부한 병사가 하수도 구멍에 성기를 넣었다 빼게 하는 ‘기압’을 받은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은 소문을 타고 상관들의 귀에까지 들어가 해당 선임병은 결국 군법회의에 회부됐다.
전문가들은 군 성폭행 문제를 이제는 밀폐된 병영으로부터 밖으로 끌어내 사회적 공론화 함으로써 정확한 실태파악과 그에 따른 실효성있는 대책을 세워야 할 때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성폭력상담소 권주희 간사는 “군 성폭행 문제는 최근 병사의 자살 등 극단적인 사건으로 잠시 언론에 이슈화됐을 뿐이지 이전부터 빈번히 벌어졌다”며 “군 성폭력 문제는 물리적 피해보다 정신적 피해에 초점을 둬야 하며 일종의 인격적 살인행위”라고 말했다.
서울대 김혜란(金惠蘭·사회복지학) 교수는 “군 성폭행 문제의 가장 큰 이유는 가부장적인 요인과 폐쇄적이고 상명하복식의 군대문화의 특수성 때문”이라면서 “병영 안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한 군인들이나 민간인들을 고용하는 전문상담제도 등을 채택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기사 2003.07. 14 홍원상기자)
▲ < 남성의전화. com / 남성의전화 >
- 이전글성인가출의 그늘 03.07.19
- 다음글가출 70%가 어른 가정`흔들` 03.07.16